본문 바로가기
경제

배우자 상속세 폐지? 유산취득세 도입의 장단점과 영향

by 경제 파트너 2025. 3. 8.

상속세 체계 개편으로 논의되는 유산취득세 전환. OECD 사례와 데이터를 통해 장단점 및 세수 변화, 배우자 상속세 폐지의 영향을 분석합니다.


상속세와 유산취득세: 기본 개념과 차이

상속세는 피상속인의 전체 재산에 대해 과세하며, 상속인 수와 관계없이 총유산에 누진 세율을 적용합니다. 반면, 유산취득세는 각 상속인이 취득한 재산에 따라 과세하는 방식으로, 상속인의 수가 많을수록 세 부담이 줄어드는 특징이 있습니다.

  • 유산세 방식: 피상속인의 총 유산에 대해 과세.
  • 유산취득세 방식: 각 상속인이 취득한 재산에 따라 과세.

예를 들어, 30억 원의 유산을 3명이 나눌 경우

  • 유산세 방식: 30억 원 전체에 대해 50% 세율 적용.
  • 유산취득세 방식: 각 10억 원씩 나눠 낮은 세율 적용

유산세VS유산취득세
유산세 VS 유산취득세


OECD 국가 상속세 체계 비교

OECD 38개국 중 23개국만이 상속세를 부과하며, 이 중 대부분(19개국)은 유산취득세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 한국과 일본: 최고 세율 각각 50%, 55%로 가장 높음.
  • OECD 평균 최고 세율: 약 15%.
  • 비과세 국가: 스웨덴, 캐나다 등 15개국.

한국은 명목 최고 세율이 높고 공제 혜택이 제한적이라 실효 세율도 높은 편입니다. 특히 최대 주주 할증까지 포함하면 최고 세율은 60%로, OECD 내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유산취득세 도입 시 예상되는 세수 변화

2021년 기준으로 유산취득세 전환 시 총세수는 약 6000억~1조 3000억 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상위 자산가 혜택 집중: 과표 46억~66억 원 구간(상위 0.8%)에서 가장 큰 감면 효과.
  • 감면 혜택 분포: 감면액의 약 80%가 상위 0.8%에게 집중.
  • 평균 상속인 수 가정: 2~4명일 경우, 현행보다 세 부담 감소.

이는 부자 감세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저출산으로 인해 상속인이 적은 경우 일반 가구에는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배우자 상속세 폐지와 고령화 사회의 과제

배우자 공제 확대 또는 배우자 상속세 폐지는 고령화 사회에서 가족 부양을 지원하는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다음과 같은 우려도 존재합니다.

긍정적 효과

  • 가계 안정성 강화.
  • 고령화 사회에서 가족 부양 촉진.

부정적 효과

  • 세수 감소로 인한 공공재 축소.
  • 부자 감면 정책이라는 비판.

예를 들어 배우자가 단독으로 총 유산을 승계할 경우, 현행 공제 한도(최소 5억 원)로는 충분하지 않아 추가적인 공제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유산취득세 전환의 장단점과 주요 쟁점

장점

  • 응능부담 원칙 실현: 각 상속인의 담세력에 맞는 과세.
  • 부의 분배 촉진: 재산 분할로 부의 집중 완화.
  • 절차 간소화 가능성: 개별 과표 산정을 통해 투명성 증대.

단점

  • 조세 회피 우려: 허위 신고 및 가장 분할 가능성 증가.
  • 저출산 시대 불리함: 자녀가 적을수록 세 부담 증가.
  • 행정 비용 증가: 개별 과표 산정으로 복잡성 증가.

특히, 한국처럼 저출산 상황에서는 자녀 수가 적어질수록 유산취득세 방식이 오히려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습니다.

 

상속세 체계가 유산취득세로 전환될 경우, 상속인의 수에 따라 세 부담이 줄어들 수 있지만, 고액 자산가에게 혜택이 집중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유산취득세 도입 시에는 형평성을 높이고 세수 감소를 보완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