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트럼프 2025년 철강·알루미늄 25% 추가 관세 부과

by 경제 파트너 2025. 2. 10.

2025년 2월 10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철강,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해 25% 추가 관세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치의 배경과 글로벌 반응, 한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려 드립니다.

목차

  • 트럼프 관세 기조
  • 철강, 알루미늄 25% 관세 부과의 배경
  • 글로벌 반응 및 무역 전쟁 가능성
  • 한국 등 주요국에 미치는 영향
  • 결론: 앞으로의 대응 방향

트럼프 관세 기조

2025년 2월 10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모든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각각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첫 임기(2018년) 당시 시행했던 철강(25%) 및 알루미늄(10%) 관세 정책을 확장한 조치로, 미국 제조업 보호와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이번 조치를 통해 미국 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해외 의존도를 줄이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였습니다.

미국-국기가-있는-트럼프-대통령-이미지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내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관세 기조

주요 내용 요약

  • 적용 품목: 모든 수입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
  • 관세율: 기존 관세에 추가로 25% 부과
  • 발효 시점: 발표 즉시 적용

철강, 알루미늄 25% 관세 부과의 배경

국가 안보와 제조업 보호

트럼프는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이 미국의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라고 주장하며,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이번 관세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이는 미국 내 제조업을 보호하고, 해외 경쟁력을 견제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기존 정책과의 비교

2018년 당시에도 철강(25%)과 알루미늄(10%)에 관세를 부과했으나, 이후 캐나다와 멕시코 등 일부 국가에는 면제 혜택을 제공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일괄적인 추가 관세를 적용하며 더 강력한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글로벌 반응 및 무역 전쟁 가능성

중국의 대응

중국은 즉각적으로 미국산 제품에 대해 보복 관세를 부과하며 맞대응에 나섰습니다. 약14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농산물, 에너지 제품 등에 10~15%의 보복 관세가 적용될 예정입니다.

캐나다와 멕시코

캐나다와 멕시코는 기존 USMCA(미국, 멕시코, 캐나다 협정) 협정을 통해 무관세 혜택을 받고 있었으나, 이번 조치로 인해 추가 협상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유럽연합(EU)

유럽연합은 자동차 및 기타 주요 수출 품목에 대한 보복 조치를 검토 중이며, 트럼프의 조치가 글로벌 무역 전쟁을 촉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습니다.


한국 등 주요국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 현재 대미 철강 수출에서 263만 톤의 무관세 쿼터를 적용받고 있니다. 그러나 이번 조치로 인해 한국산 철강 제품에도 추가적인 규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무역-관련-컨테이너-이동-이미지
한국 기업의 대미 무역 변화

한국 기업 대응 방안

  1. 수출 다변화: 미국 외 시장 개척 강화.
  2. 현지 생산 확대: 미국 내 공장 설립 및 투자 검토.
  3. 정부 협상 강화: 기존 쿼터 면제를 유지하기 위한 협상 필요.

5. 결론: 앞으로의 대응 방향

트럼프의 새로운 관세 정책은 글로벌 무역 질서와 각국 경제에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을 포함한 주요 수출국들은 이에 따른 경제적 타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략 마련이 시급합니다.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효율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도 관련 동향을 계속 주시해 주세요.